본문 바로가기
뉴스

한강 윤석열 파면 성명 한강작가 외 414명 파면촉구 성명 발표

by 정보스타⭐️ 2025. 3. 25.
반응형

한강 윤석열 파면 성명 발표

 

“헌정질서 수호를 위한 작가들의 외침”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한강, “생명·자유·평화는 지켜져야 할 보편적 가치” 2025년 3월 25일, 한국 문학계가 하나로 뭉쳤습니다.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한강을 비롯한 국내 작가 414명이 공동으로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성명은 단순한 정치적 발언이 아닌, 헌정질서와 보편적 가치를 지키기 위한 문인들의 양심적 선언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한강, 침묵을 깨고 목소리를 내다

문학의 힘은 말이 아닌 때 말하는 데 있습니다. 늘 조용히 글로 세상과 대화해 오던 소설가 한강은, 이번만큼은 말로 외쳤습니다.

 

“훼손되어서는 안 될 생명, 자유, 평화의 가치를 믿습니다.” 한강은 공동 성명을 통해,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 인용과 파면을 헌법적 가치를 지키기 위한 필연적 조치로 규정했습니다.

 

그녀는 파면이 곧 대한민국이 지켜온 민주주의의 원칙을 지키는 일이라며, 헌법재판소의 책임 있는 결단을 촉구했습니다.

414명의 문인들, “민주주의의 경계에 선 지금, 우리는 기록하고 증언한다”

이번 성명은 시인 서효인(안온북스 대표)이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공유하며 세간에 알려졌습니다.

참여한 414명의 문인은 시인, 소설가, 평론가, 번역가 등 문단의 중견부터 신예까지 다양한 세대로 구성돼 있어 그 의미가 더욱 깊습니다.

 

참여 작가에는 다음과 같은 이름들이 포함돼 있습니다.

1) 소설가: 한강, 은희경, 김애란, 김연수, 김중혁, 윤성희, 김초엽

2) 시인: 김혜순, 김민정, 이병률, 조용미, 최지인, 김현, 김언, 김현우 등

3) 평론가·번역가·출판인 등도 대거 동참했습니다.

 

문인들은 SNS와 성명서를 통해 각자의 언어로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요청했습니다.

그 문장 하나하나는 간결하지만 무게감 있게, 절박하지만 단정하게 표현됐습니다.

작가들의 한 줄, 한 줄이 곧 시대의 기록

1) 은희경: “민주주의 세상에서 살고 싶습니다.”

2) 김혜순: “우리가 전 세계인에게 더 이상 부끄럽지 않게 해다오, 제발.”

3) 김연수: “늦어도 다음 주 이맘때에는, 정의와 평화로 충만한 밤이기를.”

4) 김애란: “시민들과 함께 법의 최저선을 지켜주세요.”

5) 김초엽: “진심 스트레스 받아서 이 한 줄도 못 쓰겠어요. 빨리 파면 좀!” • 김현: “나는 보았고 너는 들었고 우리는 알았다. 진실의 뿔을 갈아 너희의 어둠을 찢으리라.”

6) 김언: “상식이 없으면 법도 없어진다. 우리는 무법을 원하지 않는다.”

7) 김중혁: “비상계엄으로 헌법을 무시했고, 민주주의를 파괴했다. 그런 사람이 다시 대통령이 될 수는 없다.”

8) 윤성희: “당연한 것을 당연한 세상 속으로.”

 

이들은 모두 각자의 방식으로 시민으로서의 책무를 표현했고, 이는 곧 작가라는 존재가 단순히 이야기를 쓰는 사람을 넘어 시대의 양심이자 증언자임을 보여줍니다.

공동 성명 요지 – “계엄령은 민주주의의 붕괴, 헌재의 조속한 결단 촉구”

공동 성명은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령 검토 지시와 헌법 위반 행위를 “한국 민주주의에 대한 본질적인 위협”으로 규정했습니다.

 

이에 따라 작가들은 헌법재판소가 조속히 판결을 내려 국민이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헌재의 늦어진 결론이 국민의 고통과 분열을 심화시키고 있다는 지적도 함께 담겼습니다.

역사 속 문인의 역할, 지금도 계속된다

한국 현대사 속 문인들은 언제나 가장 앞에서 진실을 이야기해 왔습니다.

1970~80년대 독재 정권에 맞섰던 민중문학의 흐름, 2008년 촛불 정국의 성명 발표, 그리고 오늘날까지.

이번 작가들의 행동은 문학이 현실을 외면하지 않는다는 강력한 증거입니다.

침묵하지 않기로 선택한 문인들, 그들의 한 줄이 결국 역사를 바꾸는 단초가 될 수 있다는 믿음은 여전히 유효합니다.

가 414인의 명단 – 문학계의 양심이자 선언

강경아, 강계숙, 강기원, 강동호, 강성은, 강유정, 강지혜, 고운기, 고재귀, 고찬규, 구병모, 김경욱, 김다연, 김민정, 김사인, 김소연, 김애란, 김언, 김연수, 김영진, 김중혁, 김지연, 김초엽, 김혜순, 김현, 김현우, 김혼비, 나희덕, 도수영, 문보영, 박상영, 박서련, 박하빈, 박형숙, 배수연, 백수린, 서효인, 성기완, 손보미, 송승언, 신형철, 안미옥, 양경언, 오은, 윤경희, 윤성희, 이기호, 이병률, 이서하, 이우성, 이장욱, 이정호, 이주란, 이진양, 임솔아, 임지은, 장강명, 장류진, 장석남, 장이지, 전성진, 정여울, 정재은, 조남주, 조해진, 진은영, 최민우, 최은영, 최지인, 최진영, 하재연, 하혁진, 한강, 한정현, 홍성희, 황인찬 등 총 414인.

 

마무리하며 – “이 한 줄이 모여 역사를 움직이기를”

이번 작가들의 성명은 단순한 정치적 발언이 아닙니다.

이는 헌법과 민주주의에 대한 사랑, 그리고 시민으로서의 책임감이 빚어낸 문장들의 모음입니다.

 

누군가는 말합니다.

“문장은 세상을 바꿀 수 없다고.”

그러나 문장은 기억하게 하고, 생각하게 하고, 움직이게 합니다.

 

작가들의 이 한 줄이,

결국 진실의 물줄기를 바꾸는 시작이 되기를 바랍니다.

 

“우리는 기록한다. 우리는 말한다. 그리고 우리는 행동한다.”

– 윤석열 파면을 촉구하는 작가 414인 공동 성명 중에서

 

 

2024.10.10 - [연예뉴스] - 노벨문학상 한강 작가 누구? 한국 최초 대표작 채식주의자 소년이 온다 인터뷰

 

노벨문학상 한강 작가 누구? 한국 최초 대표작 채식주의자 소년이 온다 인터뷰

한국 최초 노벨문학상 소설가 한강 누구? 소설가 한강은 한국 문단에서 문학적 깊이와 서정적인 표현으로 독자와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아온 작가입니다. 그녀는 인간의 내면을 파고드는 섬세

star.ceonewmoon.com

2024.10.16 - [연예뉴스] - 노벨문학상 한강 신작 내년 초 겨울 3부작 공개 예정

 

노벨문학상 한강 신작 내년초 겨울 3부작 공개 예정

노벨 문학상 한강, 내년 초 ‘겨울 3부작’ 완결작 공개 예정노벨문학상 수상 후 첫 작품, 차기작에 쏠린 기대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소설가 한강이 내년 초, 많은 독자들이 기다려온 겨울 3부작’

star.ceonewmoon.com

2024.12.06 - [연예뉴스] - 노벨문학상 수상자 한강 수상 소감 인터뷰 2024년 계엄 상황에 깊은 충격

 

노벨문학상 수상자 한강 수상 소감 인터뷰 2024년 계엄 상황에 깊은 충격

노벨문학상 수상자 한강, 2024년 계엄 상황에 깊은 충격 2024년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한강 작가는 12월 6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한국의 최근 정세와 계엄 상황에 대한 심경

star.ceonewmoon.com

 

반응형

댓글